김동철 한성대 교수정부에서 발주하는 프로젝트 제목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 당시에 유행하고 있는 기술의 트렌드를 알 수 있다. 몇 년 전에는 빅데이터라는 기술요소가 어디나 보였다. 예를 들면 '전자정부 빅데이터 고도화 3차 사업' 또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펜데믹의 확산 모형 개발 사업' 등이 그러했다.지금은 인공지능(AI)이 빅데이터를 대체했다. 정부와 사회의 모든 절차가 AI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지방자치단체 전력 수요 예측을 위한 AI 모델 개발'이니, 'AI 탑재형 신형 무기체계 개발'이니 하는 프로젝트들이 그러한 사례들이다. 빅데이터를 포함한 당시의 신기술과 현재의 AI는 기업 입장에서 어마어마한 차이점이 있다. 유일하게 기업의 회장님들이 직접 사용해 볼 수 있는 기술이 AI다.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재미도 있기 때문이다.그런데 막상 회사에서 AI를 도입하기란 쉽지 않다. 첫째 미국이나 중국의 기업에서 만들어 제공하는 AI 서비스에 무턱대고 회사의 자료를 제공하면서 각종 질문을 하다가는 회사의 기밀이 손쉽게 새어 나갈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자발적으로 해킹을 당하는 것으로 눈 뜨고 코 베이는 격이라 할 수 있다.조금 더 깊이 생각해보면 사용료 내고 개인정보와 회사의 자료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외국의 AI는 이러한 자료를 공짜로 학습해서 더욱 경쟁력을 키워간다. 기술의 리더십을 빼앗기고 사용만을 강요당하는 나라의 현실은 이렇다.둘째로 AI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다. 그러한 비용을 들여서 AI를 구축해서 사용한다고 치면, 일단 회사에서는 AI가 대체할 수 있는 일자리만큼 회사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노동조합의 강력한 반발에 직면해 인위적인 인력 감축이 쉽지 않다.다른 한편으로 회장님 입장에서는 AI 도입에 투자한 이상으로 회사의 성장이 있었으면 좋겠으나, AI를 곧바로 매출 증가로 연결할 방법을 찾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그나마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방법으로 AI에 대체된 직원들을 모두 영업부로 돌려서 매출 확대에 매진해보는 것을 생각할 수 있겠다. 챗GPT에 초보적인 질문을 던져서 신기함을 경험해본 수준의 회장님들이나 회사의 경영진들의 한계는 여기까지다.과거에 컴퓨터와 네트워크가 세상에 나왔을 때도 기업은 지금과 동일한 고민을 했다. 그러나 정보기술(IT)을 성공적으로 도입한 기업은 지방으로, 글로벌로 비즈김동철 한성대 교수정부에서 발주하는 프로젝트 제목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 당시에 유행하고 있는 기술의 트렌드를 알 수 있다. 몇 년 전에는 빅데이터라는 기술요소가 어디나 보였다. 예를 들면 '전자정부 빅데이터 고도화 3차 사업' 또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펜데믹의 확산 모형 개발 사업' 등이 그러했다.지금은 인공지능(AI)이 빅데이터를 대체했다. 정부와 사회의 모든 절차가 AI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지방자치단체 전력 수요 예측을 위한 AI 모델 개발'이니, 'AI 탑재형 신형 무기체계 개발'이니 하는 프로젝트들이 그러한 사례들이다. 빅데이터를 포함한 당시의 신기술과 현재의 AI는 기업 입장에서 어마어마한 차이점이 있다. 유일하게 기업의 회장님들이 직접 사용해 볼 수 있는 기술이 AI다.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재미도 있기 때문이다.그런데 막상 회사에서 AI를 도입하기란 쉽지 않다. 첫째 미국이나 중국의 기업에서 만들어 제공하는 AI 서비스에 무턱대고 회사의 자료를 제공하면서 각종 질문을 하다가는 회사의 기밀이 손쉽게 새어 나갈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자발적으로 해킹을 당하는 것으로 눈 뜨고 코 베이는 격이라 할 수 있다.조금 더 깊이 생각해보면 사용료 내고 개인정보와 회사의 자료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외국의 AI는 이러한 자료를 공짜로 학습해서 더욱 경쟁력을 키워간다. 기술의 리더십을 빼앗기고 사용만을 강요당하는 나라의 현실은 이렇다.둘째로 AI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다. 그러한 비용을 들여서 AI를 구축해서 사용한다고 치면, 일단 회사에서는 AI가 대체할 수 있는 일자리만큼 회사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노동조합의 강력한 반발에 직면해 인위적인 인력 감축이 쉽지 않다.다른 한편으로 회장님 입장에서는 AI 도입에 투자한 이상으로 회사의 성장이 있었으면 좋겠으나, AI를 곧바로 매출 증가로 연결할 방법을 찾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그나마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방법으로 AI에 대체된 직원들을 모두 영업부로 돌려서 매출 확대에 매진해보는 것을 생각할 수 있겠다. 챗GPT에 초보적인 질문을 던져서 신기함을 경험해본 수준의 회장님들이나 회사의 경영진들의 한계는 여기까지다.과거에 컴퓨터와 네트워크가 세상에 나왔을 때도 기업은 지금과 동일한 고민을 했다. 그러나 정보기술(IT)을 성공적으로 도입한 기업은 지방으로, 글로벌로 비즈니스를 확장하는 속도 측면에 있어서 투자 대비 보상이 상당했다. 결과적으로 기업의 생존을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가 됐고,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