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산불 특별단속 활동 [산림청 제공] 산림청은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가 전국에 걸쳐 '심각' 단계인 가운데 청명과 한식, 식목일을 전후로 산불 예방을 위한 산불 특별기동단속 활동을 펴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청명·한식에 조상 묘를 돌보는 풍습으로 인해 산을 찾는 성묘객이 증가하고, 식목일에는 나무 심기 행사와 자연 체험 활동이 활발해 산을 찾는 사람의 발길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게다가 지난달까지 전국 평균 강수량이 평년의 60% 수준에 불과하고 고온·건조한 날씨까지 더해지면서 산불 발생 위험이 예년보다 매우 높은 편입니다.산림청은 산불 예방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지방산림청 및 국유림관리소, 지방자치단체, 경찰, 소방서 등 관계기관과 산림 관련 협회와 단체 등의 인력과 자원을 총동원해 단속 활동을 펼칠 계획입니다.주요 단속 대상은 성묘객이 집중되는 공원묘지와 가족묘지 주변과 전국의 나무 심기 행사장 등 입니다.이들 장소에는 불법 소각과 산림 내 흡연, 인화물질 사용 등 산불을 유발할 수 있는 행위에 대한 집중적인 단속이 이뤄지고, 입산이 금지된 통제구역 무단출입 행위도 단속 대상입니다.산불 예방을 위한 지역주민 계도 활동도 함께 이뤄집니다.산림청은 산림 인접 지역의 마을회관과 경로당 등을 방문해 주민들에게 불법 소각이 산불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을 알리고 관련 법령을 안내하는 등 예방 중심의 홍보 활동에도 적극 나설 계획입니다.타인의 산림에 고의로 불을 지를 경우 최소 5년에서 최대 15년의 징역형이 선고될 수 있으며, 실화라도 3년 이하의 징역이나 최대 3,000만원의 벌금이 부과됩니다.또 산림 또는 인접 지역에서 불을 피울 경우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산에서 흡연 또는 인화물질 소지했다가 적발될 경우 3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매겨집니다.임상섭 산림청장은 "영남지역에서 발생한 대형산불도 작은 불씨에서 시작된 것"이라며 "성묘와 나무 심기 등을 위해 산을 찾을 때 반드시 산불 예방 수칙을 준수해 달라"고 말했습니다.연합뉴스T 3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두고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에 경찰 차벽이 세워져 있다. /사진=서지윤 기자 [파이낸셜뉴스] "어떻게 되찾은 일상인데, 깨질까 봐 두려워요. 이번 주말을 편하게 보내기는 어려울 것 같아요." 3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만난 주민 김모씨(38)는 한숨을 내쉬었다. 김씨는 탄핵 집회가 주로 열리는 볼보빌딩 건물에서 700m 남짓 떨어진 주택가에 살고 있다. 지난 1월 집회가 잇따라 열리자, 지인의 집에서 3일 넘게 머물렀다. 김씨는 "밤이고 낮이고 확성기 소리 때문에 잠을 못 자서 성격도 예민해졌다"며 "경찰에 신고했지만, 바뀐 것도 없었다"고 토로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상황에서 선고 당일 대통령 관저 주변에서 집회가 열릴 것으로 예측되면서 주민, 자영업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주민들은 잠시 동네를 벗어나야 할지를 고민하고, 상인들은 임시휴업까지 고려하는 형국이다. 앞서 이 일대에는 대규모 집회와 시위가 연일 열려 소음과 교통체증으로 인한 불편이 컸다. 이날 대통령 관저 앞은 경찰의 삼엄한 경계가 이어지는 가운데 긴장감이 감돌았다. 이날 오후 1시 기준 관저 입구는 경호처 직원으로 보이는 남성 4명과 형광색 점퍼를 입고 경광봉을 든 경찰 기동대원 3명이 지키고 있었다. 관저 입구에서 50m 정도 떨어진 볼보빌딩 앞에는 바리케이드가 설치돼 있었고, 셔츠에 넥타이를 맨 채로 코트를 입고 무전기를 찬 직원 7명이 끊임없이 주변을 주시했다. 관저 입구 옆 차도 70여m에는 경찰버스 4대와 미니버스 1대, 이동화장실 차량이 주차돼 있었다. 경찰관은 2~3명씩 순찰을 하였다. 선고 당일 관저 주변에서 집회가 열릴 것으로 예측되면서 자영업자와 주민들의 걱정이 적잖았다. 자영업자들은 매출 감소를 특히 우려했다. 양식집 직원 유모씨(38)는 "(집회가 열렸던) 지난 1월 매출이 50% 떨어졌고, 평일 저녁에 회식하러 온 손님도 거의 없었다"며 "이러한 일이 또 반복되지는 않을까 두렵다"고 호소했다. 일부 자영업자들은 주말 영업 여부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