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서비스 | 美 외교·안보 핵심 파트너로2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5-17 07:24 조회140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美 외교·안보 핵심 파트너로2기 취임 이후 첫 중동 순방으로 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아랍에미리트 등 3국을 찾은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이 지난 15일 카타르에 도착해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카타르 국왕의 환대를 받으며 함께 활주로를 걸어가고 있다. /EPA 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기’ 첫 공식 순방이었던 중동 3국 방문이 15일로 마무리됐다. 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아랍에미리트(UAE) 등 중동의 세 나라는 모두 화려한 의전으로 미 대통령을 맞고 통 큰 투자를 약속해 트럼프와 우호적 관계를 다지고자 했다. 그중 이번 방문에서 단연 돋보인 나라는 3국 중 가장 작은 카타르였다는 평가가 많다. 트럼프 출국 전부터 4억달러(약 5610억원)짜리 보잉 747-8 항공기를 미국에 선물하기로 해 ‘신 스틸러(scene stealer·한순간 시선을 사로잡는 존재)’가 됐고 15일 정상회담 직후엔 보잉 항공기 210대를 포함해 미국과 2435억달러(약 340조원) 투자·구매 계약을 체결해 집중 조명을 받았다.그래픽=송윤혜카타르는 국토 면적이 한국 경기도 정도이고 인구는 약 310만명인 작은 나라다. 그나마 인구 상당수가 외국인 노동자로 ‘진짜 카타르 사람’은 30만명에 불과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라는 중동의 두 대국 사이에 껴 있어 국가가 사라질지 모른다는 공포에 끝없이 시달려온 카타르는 지난 수년에 걸쳐 미국과 적나라하게 밀착한 외교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며 “카타르의 전략은 명확하다. ‘우리에겐 돈이 있고, 이 돈을 (미국과 관계 맺기에) 쏟아부을 용의가 있다’는 것”이라고 전했다.세계 최대 액화천연가스(LNG) 생산국인 카타르는 20세기 중반 유전·가스전을 개발하기 전까지는 진주 채집과 어업·무역이 주 수입원인 열악한 나라였다. 원유 값이 급등한 1970년대 오일 쇼크를 계기로 급속도 경제성장을 이뤘다. 원유를 판 돈으로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7만1568달러(약 9964만원·2024년 기준)에 달하고 전체 인구의 약 10% 정도인 시민권자에겐 월 500만원이 넘는 연금과 각종 현금 수당 그리고 무상 주거·의료 등을 제공하는, 그야말로 ‘오일 부국(富國)’이다.15일 카타르 도하 알우데이드 공군기지를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연설을 들으러 온 미군 병사들을 향해 검지손가락을 앞세우는 특유의 동작을 하고 있다. 뒤로는 미군이 운용하는 美 외교·안보 핵심 파트너로2기 취임 이후 첫 중동 순방으로 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아랍에미리트 등 3국을 찾은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이 지난 15일 카타르에 도착해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카타르 국왕의 환대를 받으며 함께 활주로를 걸어가고 있다. /EPA 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기’ 첫 공식 순방이었던 중동 3국 방문이 15일로 마무리됐다. 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아랍에미리트(UAE) 등 중동의 세 나라는 모두 화려한 의전으로 미 대통령을 맞고 통 큰 투자를 약속해 트럼프와 우호적 관계를 다지고자 했다. 그중 이번 방문에서 단연 돋보인 나라는 3국 중 가장 작은 카타르였다는 평가가 많다. 트럼프 출국 전부터 4억달러(약 5610억원)짜리 보잉 747-8 항공기를 미국에 선물하기로 해 ‘신 스틸러(scene stealer·한순간 시선을 사로잡는 존재)’가 됐고 15일 정상회담 직후엔 보잉 항공기 210대를 포함해 미국과 2435억달러(약 340조원) 투자·구매 계약을 체결해 집중 조명을 받았다.그래픽=송윤혜카타르는 국토 면적이 한국 경기도 정도이고 인구는 약 310만명인 작은 나라다. 그나마 인구 상당수가 외국인 노동자로 ‘진짜 카타르 사람’은 30만명에 불과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라는 중동의 두 대국 사이에 껴 있어 국가가 사라질지 모른다는 공포에 끝없이 시달려온 카타르는 지난 수년에 걸쳐 미국과 적나라하게 밀착한 외교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며 “카타르의 전략은 명확하다. ‘우리에겐 돈이 있고, 이 돈을 (미국과 관계 맺기에) 쏟아부을 용의가 있다’는 것”이라고 전했다.세계 최대 액화천연가스(LNG) 생산국인 카타르는 20세기 중반 유전·가스전을 개발하기 전까지는 진주 채집과 어업·무역이 주 수입원인 열악한 나라였다. 원유 값이 급등한 1970년대 오일 쇼크를 계기로 급속도 경제성장을 이뤘다. 원유를 판 돈으로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7만1568달러(약 9964만원·2024년 기준)에 달하고 전체 인구의 약 10% 정도인 시민권자에겐 월 500만원이 넘는 연금과 각종 현금 수당 그리고 무상 주거·의료 등을 제공하는, 그야말로 ‘오일 부국(富國)’이다.15일 카타르 도하 알우데이드 공군기지를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연설을 들으러 온 미군 병사들을 향해 검지손가락을 앞세우는 특유의 동작을 하고 있다. 뒤로는 미군이 운용
답변
답변 준비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