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서비스 | 대법 “서울시의회 조례 적법”기초학력 공개에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5-16 04:47 조회170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대법 “서울시의회 조례 적법”기초학력 공개에 찬반 가열2001년 첫 평가 당시엔 공개2017년 이후 비공개로 전환서울시의회 공개조례 제정에조희연 “학벌주의 조장” 우려 [사진 = 연합뉴스]대법원이 서울 학생들의 기초학력진단 결과를 학교별로 알릴 수 있도록 한 서울시의회 조례안이 유효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초중고 학생들의 기초학력 수준이 공개되면 학교 간 서열화는 물론 지역별 부동산 가격 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교육감이 결과를 공개하는 것이 의무 사항은 아니라는 점에서 향후 공개 여부를 놓고 또다시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도 있다.대법원은 15일 “이 사건 조례안이 조례제정권의 한계를 벗어났다고 볼 수 없고 원고(서울시교육청)로 하여금 기초학력진단 검사의 지역·학교별 결과를 공개할 수 있도록 규정한 이 사건 조례안 제7조 제1항이 상위법령에 위반되는지 않는다고 판단해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고 밝혔다.기초학력을 진단하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가 처음 도입된 것은 2001년이다. 현재 서울시 대다수 학교는 2009년 교육부가 개발한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을 기반으로 기초학력진단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초1부터 고2 학생을 대상으로 학기 초인 3~4월 중 시행된다. 원래는 평가 결과를 공개했으나 2017년 이후 시행 여부와 과목 선택은 학교장 재량으로 하고, 결과는 외부에 공개되지 않는 것으로 바뀌었다. 다시 평가 결과를 공개하는 쪽으로 바뀐다면 9년 만의 변화가 된다.이번 기초학력진단 결과 공개 여부 논란은 진보 교육감과 보수 시의회의 대결 양상으로 진행됐다. 본격적으로 논쟁이 불붙은 것은 코로나19 막바지 시기이던 2023년이다. 코로나19로 인해 학습 결손이 커지고 기초학력 미달 학생에 대한 지원이 더 커졌다는 이유로 서울시의회에서 국민의힘 의원들 주도로 ‘기초학력 보장 지원 조례안’이 의결됐다. 개별 학교가 진단검사 시행 현황을 운영위원회에 매년 보고하고, 결과를 홈페이지에 공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골자다.당시 진보 진영의 조희연 교육감과 서울시교육청은 학교 간 서열화와 학벌주의를 조장한다는 이유로 조례안에 대해 반대 입장으 표명했다. 조례안 재의에 이어 다시 의결된 조례안에 대해서도 제소하고 동시에 집행정지를 신청해 대법원의 판결에 맡긴 것이다.서울시의회는 약 2년 만에 내려진 이번 결정에 대해 환영한다는 뜻을 밝혔다.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서 고등학교만 해도 기초학력 미달률이 2019년 국어 4%, 수학 9%, 영어 3.6%에서 재작년 국어 8.6%, 수학 16.6%, 영어 8.7%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서다.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대법 “서울시의회 조례 적법”기초학력 공개에 찬반 가열2001년 첫 평가 당시엔 공개2017년 이후 비공개로 전환서울시의회 공개조례 제정에조희연 “학벌주의 조장” 우려 [사진 = 연합뉴스]대법원이 서울 학생들의 기초학력진단 결과를 학교별로 알릴 수 있도록 한 서울시의회 조례안이 유효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초중고 학생들의 기초학력 수준이 공개되면 학교 간 서열화는 물론 지역별 부동산 가격 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교육감이 결과를 공개하는 것이 의무 사항은 아니라는 점에서 향후 공개 여부를 놓고 또다시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도 있다.대법원은 15일 “이 사건 조례안이 조례제정권의 한계를 벗어났다고 볼 수 없고 원고(서울시교육청)로 하여금 기초학력진단 검사의 지역·학교별 결과를 공개할 수 있도록 규정한 이 사건 조례안 제7조 제1항이 상위법령에 위반되는지 않는다고 판단해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고 밝혔다.기초학력을 진단하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가 처음 도입된 것은 2001년이다. 현재 서울시 대다수 학교는 2009년 교육부가 개발한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을 기반으로 기초학력진단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초1부터 고2 학생을 대상으로 학기 초인 3~4월 중 시행된다. 원래는 평가 결과를 공개했으나 2017년 이후 시행 여부와 과목 선택은 학교장 재량으로 하고, 결과는 외부에 공개되지 않는 것으로 바뀌었다. 다시 평가 결과를 공개하는 쪽으로 바뀐다면 9년 만의 변화가 된다.이번 기초학력진단 결과 공개 여부 논란은 진보 교육감과 보수 시의회의 대결 양상으로 진행됐다. 본격적으로 논쟁이 불붙은 것은 코로나19 막바지 시기이던 2023년이다. 코로나19로 인해 학습 결손이 커지고 기초학력 미달 학생에 대한 지원이 더 커졌다는 이유로 서울시의회에서 국민의힘 의원들 주도로 ‘기초학력 보장 지원 조례안’이 의결됐다. 개별 학교가 진단검사 시행 현황을 운영위원회에 매년 보고하고, 결과를 홈페이지에 공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골자다.당시 진보 진영의 조희연 교육감과 서울시교육청은 학교 간 서열화와 학벌주의를 조장한다는 이
답변
답변 준비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