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서비스 | [앵커] 우리나라에서 손에 꼽힐 정도로 많이 걸리는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작성일25-10-08 18:10 조회25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통화종료문자발송
[앵커] 우리나라에서 손에 꼽힐 정도로 많이 걸리는 데다 사망률까지 높은 암은 바로 폐암입니다. 조기 진단으로 빠르게 발견해 수술하는 경우가 많아졌지만, 이후 추가 항암치료를 피하다 재발이나 전이가 되는 안타까운 사례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김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62살 이상구 씨는 지난해 폐암 2기 진단을 받고 투병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이상구 / 폐암 2기 환자, 수술 후 항암치료중 : 기침이 안 나아요. 보름, 20일 정도 돼도. 그래서 이상하다고 그래 가지고….] 식도까지 전이될 뻔한 위험한 상황이었지만, 다행히 약물치료에 이어 수술까지 완벽하게 마무리됐습니다. 지금은 별다른 암의 흔적을 찾아보기 힘들지만, 수술 이후 추가 항암 치료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상구 / 폐암 2기 환자, 수술 후 항암치료 중 : 깨끗하게 암 세포는 없어졌다고 하더라도 앞으로 어떻게 (전이가) 될지 모르니까 받는 게 좋다고 그래서….] 폐암은 국내 암 가운데 세 번째로 많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질병으로, 사망률이 전체 1위를 기록하고 있어 환자들에게는 두려운 존재입니다. 최근에는 건강검진 등을 통해 조기 발견할 수 있다 보니 상황이 크게 나빠지기 전에 수술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조병철 / 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교수 : 흡연하는 분들에 대해서는 1년에 한 번씩 폐암 검진용 CT를 찍도록 권장하고 있고 그랬을 경우에 폐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약 20%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증명이 돼 있습니다.] 문제는 폐 주변으로 모세혈관이 발달한 특징 때문에 한 번 발병하면 재발하거나 다른 조직으로 전이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수술을 받아도 36%는 5년 안에 재발하고, 2기 폐암은 50%, 3기 폐암은 최대 80%까지 재발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올 정도입니다. 이 때문에 성공적으로 수술이 끝났다고 해도 추가 항암 치료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실제 사후 치료까지 병행했을 때 병의 재발이나 사망 위험이 43%까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조병철 / 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교수 : (수술 전) 일반 세포 독성항암제를 통상 4주기를 하 정부가 이번달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발표를 앞둔 가운데 가장 지지부진했던 산업 부문에서 변화에 시선이 쏠린다. 기존 NDC 아래에서 감축이 지지부진했던 산업 부문에서 배출량을 줄이려면‘주범’ 중 하나인 냉매를 줄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025년 여름 여의도에 놓여진 온도계에 지열이 더해져 40도가 넘게 측정된 모습. 뉴스1 정부는 다음달 브라질에서 열리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에 맞춰 2035년까지 달성할 NDC를 제출해야 한다. 가장 중요하게 꼽히는 부문 중 하나가 산업이다. 기후부가 지난 8월 발표한 2024년도 국가 온실가스 잠정 배출량을 살펴보면 산업 부문 배출량은 2억 8,590만톤으로 전년 대비 0.5% 증가했다. 산업 부문 감축에서 중요 과제 중 하나로 꼽히는 게 냉매다.냉매는 산업과 생활에 필수적인 재료지만, 대표적 온실가스인 수소불화탄소(HFCs)를 주원료로 해 기후변화 대응의 ‘숨은 복병’으로 꼽힌다. 더위는 가셨지만, 냉매는 여름에만 쓰이지 않는다. HFCs는 에어컨, 냉장고 외에도 데이터센터 냉각장치 등에 널리 사용되는 산업계 필수 요소다.다만 지구온난화지수(GWP)로 따지면 이산화탄소보다 최대 1만2400배나 높다. 한국 역시 예외가 아니다. 한국은 세계 5위 냉동공조기기 생산국인데다 친환경 냉매 대체 작업도 더딘 편에 속한다. 전체 냉매 제품의 95% 이상을여전히 HFC 계열에 의존하고 있다.자연히 냉매는 최근 몇 년간 한국의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자리 잡았다.2024년도 국가 온실가스 잠정 배출량에서도HFCs 배출량은전년 대비 4.8% 증가했다. 정부는 저감을 위해 단계별 전환 계획은 발표했지만, 기기에 주입 후 최대 20년 동안 지속 배출되는 특성 상 증가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박범철 기후솔루션 연구원은“냉매 배출이 산업통상자원부와 기후부의 관리 사각지대 속에서 제대로 통제되지 않고 있다”며 “생산·수입 단계는 산업부, 사용과 폐기 단계는 기후부가 관할해 전주기 관리가 어려운 구조”라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폐기 단계에서 회수율이 극히 낮고, 재생 냉매 인증 체계와 안전 폐기 시설이 부족해 상당량이 대기로 방출된다”고 우려했다.실제로 기후솔루션이 올해 발표한보고서에 따르면
통화종료문자발송
[앵커] 우리나라에서 손에 꼽힐 정도로 많이 걸리는 데다 사망률까지 높은 암은 바로 폐암입니다. 조기 진단으로 빠르게 발견해 수술하는 경우가 많아졌지만, 이후 추가 항암치료를 피하다 재발이나 전이가 되는 안타까운 사례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김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62살 이상구 씨는 지난해 폐암 2기 진단을 받고 투병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이상구 / 폐암 2기 환자, 수술 후 항암치료중 : 기침이 안 나아요. 보름, 20일 정도 돼도. 그래서 이상하다고 그래 가지고….] 식도까지 전이될 뻔한 위험한 상황이었지만, 다행히 약물치료에 이어 수술까지 완벽하게 마무리됐습니다. 지금은 별다른 암의 흔적을 찾아보기 힘들지만, 수술 이후 추가 항암 치료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상구 / 폐암 2기 환자, 수술 후 항암치료 중 : 깨끗하게 암 세포는 없어졌다고 하더라도 앞으로 어떻게 (전이가) 될지 모르니까 받는 게 좋다고 그래서….] 폐암은 국내 암 가운데 세 번째로 많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질병으로, 사망률이 전체 1위를 기록하고 있어 환자들에게는 두려운 존재입니다. 최근에는 건강검진 등을 통해 조기 발견할 수 있다 보니 상황이 크게 나빠지기 전에 수술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조병철 / 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교수 : 흡연하는 분들에 대해서는 1년에 한 번씩 폐암 검진용 CT를 찍도록 권장하고 있고 그랬을 경우에 폐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약 20%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증명이 돼 있습니다.] 문제는 폐 주변으로 모세혈관이 발달한 특징 때문에 한 번 발병하면 재발하거나 다른 조직으로 전이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수술을 받아도 36%는 5년 안에 재발하고, 2기 폐암은 50%, 3기 폐암은 최대 80%까지 재발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올 정도입니다. 이 때문에 성공적으로 수술이 끝났다고 해도 추가 항암 치료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실제 사후 치료까지 병행했을 때 병의 재발이나 사망 위험이 43%까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조병철 / 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교수 : (수술 전) 일반 세포 독성항암제를 통상 4주기를 하 정부가 이번달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발표를 앞둔 가운데 가장 지지부진했던 산업 부문에서 변화에 시선이 쏠린다. 기존 NDC 아래에서 감축이 지지부진했던 산업 부문에서 배출량을 줄이려면‘주범’ 중 하나인 냉매를 줄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025년 여름 여의도에 놓여진 온도계에 지열이 더해져 40도가 넘게 측정된 모습. 뉴스1 정부는 다음달 브라질에서 열리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에 맞춰 2035년까지 달성할 NDC를 제출해야 한다. 가장 중요하게 꼽히는 부문 중 하나가 산업이다. 기후부가 지난 8월 발표한 2024년도 국가 온실가스 잠정 배출량을 살펴보면 산업 부문 배출량은 2억 8,590만톤으로 전년 대비 0.5% 증가했다. 산업 부문 감축에서 중요 과제 중 하나로 꼽히는 게 냉매다.냉매는 산업과 생활에 필수적인 재료지만, 대표적 온실가스인 수소불화탄소(HFCs)를 주원료로 해 기후변화 대응의 ‘숨은 복병’으로 꼽힌다. 더위는 가셨지만, 냉매는 여름에만 쓰이지 않는다. HFCs는 에어컨, 냉장고 외에도 데이터센터 냉각장치 등에 널리 사용되는 산업계 필수 요소다.다만 지구온난화지수(GWP)로 따지면 이산화탄소보다 최대 1만2400배나 높다. 한국 역시 예외가 아니다. 한국은 세계 5위 냉동공조기기 생산국인데다 친환경 냉매 대체 작업도 더딘 편에 속한다. 전체 냉매 제품의 95% 이상을여전히 HFC 계열에 의존하고 있다.자연히 냉매는 최근 몇 년간 한국의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자리 잡았다.2024년도 국가 온실가스 잠정 배출량에서도HFCs 배출량은전년 대비 4.8% 증가했다. 정부는 저감을 위해 단계별 전환 계획은 발표했지만, 기기에 주입 후 최대 20년 동안 지속 배출되는 특성 상 증가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박범철 기후솔루션 연구원은“냉매 배출이 산업통상자원부와 기후부의 관리 사각지대 속에서 제대로 통제되지 않고 있다”며 “생산·수입 단계는 산업부, 사용과 폐기 단계는 기후부가 관할해 전주기 관리가 어려운 구조”라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폐기 단계에서 회수율이 극히 낮고, 재생 냉매 인증 체계와 안전 폐기 시설이 부족해 상당량이 대기로 방출된다”고 우려했다.실제로 기후솔루션이 올해 발표한보고서에 따르면
통화종료문자발송
답변
답변 준비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