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서비스 | 작년 미국·중국법인 실적 나란히 부진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4-24 03:35 조회229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작년 미국·중국법인 실적 나란히 부진
작년 미국·중국법인 실적 나란히 부진…전체 실적 끌어내려미·중 무역 갈등으로 올해도 불안 지난해 코스메카코리아 미국 및 중국법인 실적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메카코리아 전체 실적에서 미국 및 중국법인 매출 비중은 42%에 달한다. /코스메카코리아 [더팩트 | 문은혜 기자] K-뷰티 호황 속에서 국내 화장품 ODM(제조자개발생산) 업계 투톱인 한국콜마와 코스맥스가 최대 호황을 누리고 있는 반면 3위인 코스메카코리아는 실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무역 분쟁 등 영향으로 코스메가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과 중국 시장의 변동성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경기 불안으로 인해 코스메카코리아 성장은 지난해보다 올해 더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코스메카코리아 실적의 절반을 담당하고 있는 해외법인이 지난해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미국법인(잉글우드랩)의 지난해 매출액은 1860억원으로 전년 대비 11.2%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34.6% 급감한 189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중국법인(코스메카차이나) 매출액은 404억원으로 전년 대비 20.1% 줄었고 11억원의 영업손실로 적자가 지속됐다.다행히 지난해 국내 인디 고객사들의 대량 수주를 바탕으로 한국법인 매출(3287억원)과 영업이익(445억원)이 전년 대비 각각 22.3%, 94.1% 늘어나면서 코스메카코리아의 전체 실적 방어에는 성공했다. 한국법인과 미국법인, 중국법인 실적을 합산한 코스메카코리아의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5243억원, 영업이익은 604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1.4%, 22.8%, 58.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글로벌 시장에서 K-뷰티의 인기가 역대급으로 치솟은 분위기 속에서 화장품ODM 업종이 전반적으로 수혜를 입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난해 코스메카코리아의 실적은 다소 아쉽다는 평가다. 특히 글로벌 공략을 위해 전략적으로 키워온 미국과 중국법인의 실적이 전체 실적을 끌어내렸다는 점은 뼈아픈 부분이다. 현재 코스메카코리아 전체 매출에서 미국법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35.5%, 중국법인은 7.7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7년 11월9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공동성명을 발표하기 전 마주보고 있다. /AP=뉴시스 /사진=뉴시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하는 최소 145% 고율 관세를 품목에 따라 절반 이상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23일(현지시간) 전해졌다.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복수의 백악관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국 관세를 두고 여러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가운데 대중국 관세율을 50∼65%로 낮추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고 이날 보도했다.한 소식통은 미국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지 여부에 따라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품목별로 차등 부과되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고 전했다.미 하원 미중전략경쟁특별위원회는 지난해 미국의 전략적 이익에 관련된 품목에는 최소 100% 관세를, 국가 안보와 무관한 그밖의 품목에는 35% 관세를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산 수입품 관세와 관련, 협상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취지로 말했다. 또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추가된 145% 대중(對中) 관세가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인정하면서 협상을 하게 되면 '제로'(0%)는 아니겠지만 상당히 내려갈 것이라고 밝혔다.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도 같은 날 JP모건이 비공개로 주최한 행사에서 "중국과의 교착 상태는 지속가능하지 않다"며 "상황이 완화될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트럼프 행정부가 잇따라 유화적인 입장을 보이면서 뉴욕증시에선 관세전쟁 완화에 대한 기대심리를 바탕으로 주요 지수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오후 2시20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41%, S&P500 지수는 2.07%, 나스닥종합지수는 3.17% 오른 상태다.중국은 트럼프 행정부의 달라진 입장에 원론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 궈자쿤 대변인은 "싸운다면 끝까지 맞서 싸우되 대화의 문은 활짝 열려있다"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뉴욕=심재현 특파원 urme@mt.co.kr
작년 미국·중국법인 실적 나란히 부진
작년 미국·중국법인 실적 나란히 부진…전체 실적 끌어내려미·중 무역 갈등으로 올해도 불안 지난해 코스메카코리아 미국 및 중국법인 실적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메카코리아 전체 실적에서 미국 및 중국법인 매출 비중은 42%에 달한다. /코스메카코리아 [더팩트 | 문은혜 기자] K-뷰티 호황 속에서 국내 화장품 ODM(제조자개발생산) 업계 투톱인 한국콜마와 코스맥스가 최대 호황을 누리고 있는 반면 3위인 코스메카코리아는 실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무역 분쟁 등 영향으로 코스메가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과 중국 시장의 변동성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경기 불안으로 인해 코스메카코리아 성장은 지난해보다 올해 더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코스메카코리아 실적의 절반을 담당하고 있는 해외법인이 지난해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미국법인(잉글우드랩)의 지난해 매출액은 1860억원으로 전년 대비 11.2%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34.6% 급감한 189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중국법인(코스메카차이나) 매출액은 404억원으로 전년 대비 20.1% 줄었고 11억원의 영업손실로 적자가 지속됐다.다행히 지난해 국내 인디 고객사들의 대량 수주를 바탕으로 한국법인 매출(3287억원)과 영업이익(445억원)이 전년 대비 각각 22.3%, 94.1% 늘어나면서 코스메카코리아의 전체 실적 방어에는 성공했다. 한국법인과 미국법인, 중국법인 실적을 합산한 코스메카코리아의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5243억원, 영업이익은 604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1.4%, 22.8%, 58.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글로벌 시장에서 K-뷰티의 인기가 역대급으로 치솟은 분위기 속에서 화장품ODM 업종이 전반적으로 수혜를 입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난해 코스메카코리아의 실적은 다소 아쉽다는 평가다. 특히 글로벌 공략을 위해 전략적으로 키워온 미국과 중국법인의 실적이 전체 실적을 끌어내렸다는 점은 뼈아픈 부분이다. 현재 코스메카코리아 전체 매출에서 미국법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35.5%, 중국법인은 7.7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7년 11월9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공동성명을 발표하기 전 마주보고 있다. /AP=뉴시스 /사진=뉴시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하는 최소 145% 고율 관세를 품목에 따라 절반 이상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23일(현지시간) 전해졌다.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복수의 백악관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국 관세를 두고 여러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가운데 대중국 관세율을 50∼65%로 낮추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고 이날 보도했다.한 소식통은 미국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지 여부에 따라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품목별로 차등 부과되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고 전했다.미 하원 미중전략경쟁특별위원회는 지난해 미국의 전략적 이익에 관련된 품목에는 최소 100% 관세를, 국가 안보와 무관한 그밖의 품목에는 35% 관세를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산 수입품 관세와 관련, 협상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취지로 말했다. 또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추가된 145% 대중(對中) 관세가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인정하면서 협상을 하게 되면 '제로'(0%)는 아니겠지만 상당히 내려갈 것이라고 밝혔다.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도 같은 날 JP모건이 비공개로 주최한 행사에서 "중국과의 교착 상태는 지속가능하지 않다"며 "상황이 완화될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트럼프 행정부가 잇따라 유화적인 입장을 보이면서 뉴욕증시에선 관세전쟁 완화에 대한 기대심리를 바탕으로 주요 지수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오후 2시20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41%, S&P500 지수는 2.07%, 나스닥종합지수는 3.17% 오른 상태다.중국은 트럼프 행정부의 달라진 입장에 원론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 궈자쿤 대변인은 "싸운다면 끝까지 맞서 싸우되 대화의 문은 활짝 열려있다"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뉴욕=심재현 특파원 urme@mt.co.kr
구글상단작업
개포동부동산
다산동부동산
홈페이지상위노출
구글상단노출
웹SEO
웹사이트상위노출
마케팅프로그램판매
개포동부동산
디시인사이드자동댓글
구글상단작업
사이트상위노출
홈페이지상위노출
네이버마케팅프로그램
마케팅프로그램
디시인사이드자동댓글
마케팅프로그램판매
다산동부동산
네이버마케팅프로그램
네이버상위작업업체
네이버상위노출
웹사이트상위노출
부산헌옷방문수거
네이버상위노출
상위노출
플레이스상위
플레이스상위
구글상단노출
네이버상단작업
마케팅프로그램
네이버상단작업
상위노출 사이트
네이버상위작업업체
상위노출 사이트
사이트상위노출
쿠팡퀵플렉스
상위노출
부산헌옷방문수거
웹SEO
작년 미국·중국법인 실적 나란히 부진
답변
답변 준비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