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덕진구의 기울어진 전봇대. 김문경 기자 기울어진 상태의 전봇대가 다수 목격되면서 시민들이 불안해하고 있다. 이에 전문가는 변화하는 기후에 맞춰 시설 규정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16일 전주시 덕진구의 한 골목. 한 시민이 걸음을 멈추고 인도 위에 설치되어 있던 전봇대를 유심히 살피고 있었다. 그는 무언가 신경 쓰이는 것이 있는지 전봇대를 지나친 이후에도 계속해서 뒤를 돌아봤다. 해당 시민이 확인하던 전봇대는 크게 기울어져 바로 옆 전봇대에 기대어 있었다. 확인 결과 이 전봇대는 15도에서 20도 정도 기울어져 있었으며, 바로 길 건너 도로에도 이처럼 기울어진 전봇대가 설치된 상태였다. 전주시 완산구의 기울어진 전봇대. 김문경 기자 이날 전주시 완산구의 한 도로에서도 비슷한 전봇대를 찾아볼 수 있었다. 해당 전봇대는 길 건너편의 다른 전봇대와 선으로 연결된 채크게 기울어진 상황이었다. 이렇게 기울어진 전봇대를 본 시민들은 당혹감과 우려를 나타냈다. 김모(20대·호성동) 씨는 “근처에 볼 일이 있어 들렀었는데 기울어진 전봇대를 보고 깜짝 놀랐다”며 “그냥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기울어져 있는데 안전문제는 없는 것인지 궁금하다”고 의문을 표했다. 정모(30대·송천동) 씨도 “최근 전북 지역에도 갑작스러운 폭우나 지진 등이 발생한 적이 있지 않느냐”며 “지금은 괜찮더라도 자연재난 발생시 문제가 발생할까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한국전력공사에 따르면 기울어진 전봇대들은 바로 옆에서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전봇대의 하중 분산 목적 등으로 설치된 것으로 파악됐다. 한전 관계자는 “해당 시설은 전주(전봇대)가 받는 힘이 한쪽으로 쏠리거나 전선이 수평을 유지하기 어려울 때 전주가 쓰러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지지주다”며 “지지주는 전주의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전주 바로 아래나 반대편에 설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지주는 설계 단계에서부터 각도와 하중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뒤 설치하고 있어 기울어져 있다고 하더라도 안전문제는 없는 상태다”며 “항상 현장을 돌면서 이상이 있는 부분을확인해 조치 중이니 전력시설 관련 특이사항을 목격한다면 적극적으로 제보해 달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전문가는 16일 대구 매일신문사에서 열린 '제11회 매일시니어문학상 시상식'이 16일 오후 3시 매일신문사 11층 매일가든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이날 시상식에는 대상 수상자 박성근 씨를 비롯해 논픽션, 시·시조, 수필 등 3개 부문 당선인 16명과 심사위원들이 참석해 수상자들을 축하했다.최미경 대구시 문화예술정책과장, 하청호 대구문학관장, 안윤하 대구문인협회 회장, 박미영 대구문학관 대외협력실장 등 문단 관계자와 수상자 가족과 축하객 등 100여 명도 참석해 시상식 자리를 빛냈다.시상에 앞서 이동관 매일신문 사장은 "올해 역시 약 2천여편의 작품이 접수될 정도로 뜨거운 열기를 보였다. 작품 수준도 신춘문예와 견줄만큼 수준이 높았다"며 "수상자분들은 계속해서 좋은 작품을 써내려 가시기를 응원하며, 앞으로도 우리의 삶에 큰 울림과 영감을 주시길 기대한다"고 말했다.이태수 심사위원장(시인)은 심사평을 통해 "시니어의 연륜때문에 오랜세월을 유포하는 사유와 성찰을 느끼게 했으며 표현기법도 무르익은 작품들이 많았다"며 "전국에서 시니어 문학상의 관심이 증폭되는 만큼 우리사회의 아름다운 등대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하청호 대구문학관 관장은 "수상작들을 보면 삶의 많은 경험들이 녹아드는 작품이었다. 글을 쓴다는 것은 자기의 주체성을 확립하는 것이라고 행각한다"라며 "당선된 분들은 앞으로 한국 문단에 큰 빛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안윤하 대구문인협회 회장은 "문학인들이 좀 더 세련되고 아름다운 작품을 생산해내는 것이 우리의 의무라고 생각한다"라며 "시니어 문학상을 제정해준 매일신문에 감사드리고, 당선된 분들도 앞으로 더 좋은 작품으로 보답해주시면 감사하겠다"고 말했다.최미경 대구시 문화예술정책과장은 "시니어 문학상을 통해 좋은 작품이 출품되고 더 나은 근간으로 나아가는 주춧돌이 되었으면 좋겠다"며 "수상자 분들의 앞으로의 문학 여정도 건강하고 행복하시길 바란다"고 축사를 전했다.한 노숙인과 동장의 조용하지만 깊은 연대를 통해 인간성 회복을 따뜻하게 녹여낸 작품 '천원짜리의 비밀'로 대상을 수상한 박성근 씨는 "시상을 위해 KTX를 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