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제약사들은 신약을 개발할 때 환자의 복약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주사제에서 알약으로 변형하는 방안을 고려한다. 그러나 이 같은 대세를 거스르는 약이 있으니, 바로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신약이다.HIV 장기지속형 주사제 보카브리아(왼쪽), 보카브리아(오른쪽)/사진=GSK, 얀센 제공이달부터 보험급여가 적용되는 '보카브리아(성분명 카보테그라비르)'·'레캄비스(성분명 릴피비린)' 병용요법은 두 달에 한 번 맞는 HIV 주사다. 해당 치료법은 알약이 아닌 주사제임에도 환자들의 복약순응도를 높였다고 평가받는다. 어떻게 이런 평가가 나올 수 있었을까. 실제 약을 사용하는 의료진과 환자들에게 그 이유에 대해 물었다.매일 복용 부담·사회적 낙인에… 장기지속형 주사 수요 증가사실 HIV 치료제는 주사제가 등장하기 전까지도 많은 발전이 이뤄졌다. 최초 치료제가 등장했을 당시에는 경구제를 한 번에 5알씩 3회, 하루에 총 15알을 먹어야 할 만큼 번거로웠지만, 각각 치료제의 성분을 복합한 신약이 등장하면서 1일 1회 1알만 복용하면 되게끔 편의성이 개선됐다. 대표적인 약으로는 GSK의 2제 복합제 '도바토(성분명 돌루테그라비르·라미부딘)'와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3제 복합제 '빅타비(성분명 빅테그라비르·테노포비르알라페나미드·엠트리시타빈)'가 있다.여기까지만으로도 HIV 치료제가 충분히 발전한 것은 맞다. 다만, 주사제가 새롭게 등장한 것은 환자들 사이에서의 추가적인 미충족 수요와 관련이 있다. 환자들은 ▲약을 매일 먹어야 한다는 의무감에 강박을 느끼거나 ▲주변 사람에게 약을 먹다 들켜 질환에 대해 추궁받거나 ▲병원에서 받아오는 약의 개수가 많아 숨기는 데 불편함을 겪거나 ▲약을 복용할 때마다 자신이 HIV에 감염됐다는 사실에 좌절하는 사례가 있었다. 한양대병원 감염내과 김진남 교수는 "그동안 치료법이 발전했지만, 환자들이 일상생활을 매일 먹게 되면 주변 사람들에게 어떤 약을 먹는지 질문을 받는 경우가 많다"며 "사회적으로 HIV에 대한 낙인이 상당하다는 점에서 장기지속형 주사제가 복약 편의성을 개선했다고 평가받고 있다"고 말했다.HIV 주사, ‘나노서스펜션’ 기술 활용… 약효 2개월까지 연장보카브리아·레캄비스 병용요법은 약물의 내약성을 확인하기 위해 주사 시작 전 1개월(최소 28일) 동안 동일 성분의 경구제 두 알(릴피비린 1정, 카보테그라비르 1정)을 1많은 제약사들은 신약을 개발할 때 환자의 복약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주사제에서 알약으로 변형하는 방안을 고려한다. 그러나 이 같은 대세를 거스르는 약이 있으니, 바로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신약이다.HIV 장기지속형 주사제 보카브리아(왼쪽), 보카브리아(오른쪽)/사진=GSK, 얀센 제공이달부터 보험급여가 적용되는 '보카브리아(성분명 카보테그라비르)'·'레캄비스(성분명 릴피비린)' 병용요법은 두 달에 한 번 맞는 HIV 주사다. 해당 치료법은 알약이 아닌 주사제임에도 환자들의 복약순응도를 높였다고 평가받는다. 어떻게 이런 평가가 나올 수 있었을까. 실제 약을 사용하는 의료진과 환자들에게 그 이유에 대해 물었다.매일 복용 부담·사회적 낙인에… 장기지속형 주사 수요 증가사실 HIV 치료제는 주사제가 등장하기 전까지도 많은 발전이 이뤄졌다. 최초 치료제가 등장했을 당시에는 경구제를 한 번에 5알씩 3회, 하루에 총 15알을 먹어야 할 만큼 번거로웠지만, 각각 치료제의 성분을 복합한 신약이 등장하면서 1일 1회 1알만 복용하면 되게끔 편의성이 개선됐다. 대표적인 약으로는 GSK의 2제 복합제 '도바토(성분명 돌루테그라비르·라미부딘)'와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3제 복합제 '빅타비(성분명 빅테그라비르·테노포비르알라페나미드·엠트리시타빈)'가 있다.여기까지만으로도 HIV 치료제가 충분히 발전한 것은 맞다. 다만, 주사제가 새롭게 등장한 것은 환자들 사이에서의 추가적인 미충족 수요와 관련이 있다. 환자들은 ▲약을 매일 먹어야 한다는 의무감에 강박을 느끼거나 ▲주변 사람에게 약을 먹다 들켜 질환에 대해 추궁받거나 ▲병원에서 받아오는 약의 개수가 많아 숨기는 데 불편함을 겪거나 ▲약을 복용할 때마다 자신이 HIV에 감염됐다는 사실에 좌절하는 사례가 있었다. 한양대병원 감염내과 김진남 교수는 "그동안 치료법이 발전했지만, 환자들이 일상생활을 매일 먹게 되면 주변 사람들에게 어떤 약을 먹는지 질문을 받는 경우가 많다"며 "사회적으로 HIV에 대한 낙인이 상당하다는 점에서 장기지속형 주사제가 복약 편의성을 개선했다고 평가받고 있다"고 말했다.HIV 주사, ‘나노서스펜션’ 기술 활용… 약효 2개월까지 연장보카브리아·레캄비스 병용요법은 약물의 내약성을 확인하기 위해 주사 시작 전 1개월(최소 28일) 동안 동일 성분의 경구제 두 알(릴피비린 1정, 카보테그라비르 1정)을 1일 1회 식사와 함께 복용한다. 경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