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서비스 | 14일 野 지도부, 대장동 현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작성일25-11-15 07:40 조회40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콜백서비스
14일 野 지도부, 대장동 현장 방문성남시, 정성호에 인당 10만원 손배 청구 방침아파트 사이로 송전탑 그대로 노출돼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운데)가 14일 오후 경기 성남시 대장동 사회 기반 시설 건설 현장을 방문해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성남=이하린 기자 [더팩트ㅣ성남=이하린 기자] "대장동 돈 찾게 해주세요." 14일 오후 경기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에는 절박함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이날 성남도시개발공사 앞에는 "성남시민 분노한다 항소포기 진상규명" "대장동 특검 성남의 명령이다" 등 내용이 적힌 손팻말을 들고 있는 주민 200여 명이 모였다. 국민의힘 지도부와 경기도에 지역구를 둔 의원들이 검찰의 대장동 항소 포기를 규탄하고, 문제점을 따져보고자 직접 대장동 개발 현장을 찾으면서다.장 대표는 이날 현장 간담회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발표한 한미 관세협상 팩트시트를 "대장동 항소 포기 사건을 덮기 위한 수작"으로 규정하며 이 대통령이 대장동의 '몸통'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 측이 원하는 것을 모두 들어준 트럼프를 위한 협상이다"며 "대장동을 덮기 위해 급박하게 준비했다는 생각이 드는, 알맹이 없는 '백지' 시트였다"고 했다.현장에서 만난 주민들은 이 대통령에 대한 반감을 쏟아냈다. 대장동 거주 30년이 넘었다는 변모(70) 씨는 이날 <더팩트>에 "개발 과정을 다 지켜봐서 그 문제점을 너무나 잘 알고 있다"며 "박정희 대통령이 이렇게 나라를 살려놨는데 몇 달 만에 이렇게 무너뜨릴 수 있느냐. 대통령 꼴도 보기 싫어서 티브이도 안 본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백현동에서 10년 가까이 살았다는 장모(69) 씨도 "이 사달이 난 것도 깡패 같은 이재명 때문이라는 게 원망스럽다"고 했다.대장동을 지역구로 둔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평온한 터전, 따뜻한 동네 대장동이 이재명과 그 수하들의 손에서 계속 더럽혀지고 있다"며 "국민을 분노케 한 사상 최대 규모의 특혜 범죄인데, 그 단죄가 내려지기 직전 이 대통령과 민주당의 장관이 백기를 들었다. 이건 정의도 법치도 아니"라고 강조했다.이 자리에서 신상진 성남시장은 정성호 법무부 장관에게 정신적 손해배상을 청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 시장은 "시민들이 많이 피해를 봐 1인당 100만 원씩 10만 명의 동의받아 소송을 추진할 계획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미 간 관세·안보 합의를 문서화하는 '조인트 팩트시트(JFS·합동설명자료)' 관련 발표를 하고 있다. 2025.11.14. 한미 정상회담 이후 16일만에 발표된 조인트 팩트시트(JFS, 공동 설명자료)를 통해 핵 추진 잠수함(SSN·핵잠)을 한국에서 건조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제 핵연료 확보와 핵폐기물의 재처리를 위한 한미 원자력 협정 개정 등 후속 조치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미국과의 남은 협정에서는 상업적 목적의 핵연료 사용 확대와 핵잠의 운용만을 목적으로 한 협정에 임할 것으로 보인다.이재명 대통령은 1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대한민국의 수십년 숙원이자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필수 전략자산인 핵 추진 잠수함 건조를 추진하기로 (한미가) 함께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우라늄 농축과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 확대도 미국 정부의 지지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매우 의미있는 진전"이라고 강조했다.팩트시트가 발표되기 전 핵잠의 건조 위치에 많은 관심이 쏠렸다. 핵잠 건조 위치를 두고는 미국 측이 한화오션 산하 필리 조선소(미국 필라델피아 소재)에서 핵잠을 건조할 것을 요구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그러나 한미 간에는 관련 협상 초기부터 한국에서 핵잠을 건조하기로 합의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처음부터 끝까지 (핵 추진 잠수함을) 한국에서 건조하는 것을 전제로 (논의가) 진행됐다"고 설명했다.한국은 한미 원자력협정에 따라 평화적 목적에 한해 미국과의 서면 합의가 이뤄질 경우 '우라늄-235'를 20% 미만까지 농축할 수 있다. 한국은 통상 5% 미만으로 농축된 우라늄을 러시아 등에서 수입해 상용 원전에만 사용한다.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도 할 수 없다.핵잠의 원활한 운용을 위한 우라늄 농축도 확보도 문제지만, 현재 연간 700t 이상 발생하는 핵폐기물 재처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원자력 협정을 재개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이에 대해 미국 정부의 지지를 확보한 만큼 관련 후속 조치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위 실장은 "(한미원자력협정) 개정이 필요하면 개정을 해야 하고 새로운 해석이 필요하면 해석을 해야 한다"며 "새로운 협정이 필요할 것 같지는 않다. 지금 있는 것
콜백서비스
14일 野 지도부, 대장동 현장 방문성남시, 정성호에 인당 10만원 손배 청구 방침아파트 사이로 송전탑 그대로 노출돼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운데)가 14일 오후 경기 성남시 대장동 사회 기반 시설 건설 현장을 방문해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성남=이하린 기자 [더팩트ㅣ성남=이하린 기자] "대장동 돈 찾게 해주세요." 14일 오후 경기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에는 절박함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이날 성남도시개발공사 앞에는 "성남시민 분노한다 항소포기 진상규명" "대장동 특검 성남의 명령이다" 등 내용이 적힌 손팻말을 들고 있는 주민 200여 명이 모였다. 국민의힘 지도부와 경기도에 지역구를 둔 의원들이 검찰의 대장동 항소 포기를 규탄하고, 문제점을 따져보고자 직접 대장동 개발 현장을 찾으면서다.장 대표는 이날 현장 간담회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발표한 한미 관세협상 팩트시트를 "대장동 항소 포기 사건을 덮기 위한 수작"으로 규정하며 이 대통령이 대장동의 '몸통'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 측이 원하는 것을 모두 들어준 트럼프를 위한 협상이다"며 "대장동을 덮기 위해 급박하게 준비했다는 생각이 드는, 알맹이 없는 '백지' 시트였다"고 했다.현장에서 만난 주민들은 이 대통령에 대한 반감을 쏟아냈다. 대장동 거주 30년이 넘었다는 변모(70) 씨는 이날 <더팩트>에 "개발 과정을 다 지켜봐서 그 문제점을 너무나 잘 알고 있다"며 "박정희 대통령이 이렇게 나라를 살려놨는데 몇 달 만에 이렇게 무너뜨릴 수 있느냐. 대통령 꼴도 보기 싫어서 티브이도 안 본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백현동에서 10년 가까이 살았다는 장모(69) 씨도 "이 사달이 난 것도 깡패 같은 이재명 때문이라는 게 원망스럽다"고 했다.대장동을 지역구로 둔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평온한 터전, 따뜻한 동네 대장동이 이재명과 그 수하들의 손에서 계속 더럽혀지고 있다"며 "국민을 분노케 한 사상 최대 규모의 특혜 범죄인데, 그 단죄가 내려지기 직전 이 대통령과 민주당의 장관이 백기를 들었다. 이건 정의도 법치도 아니"라고 강조했다.이 자리에서 신상진 성남시장은 정성호 법무부 장관에게 정신적 손해배상을 청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 시장은 "시민들이 많이 피해를 봐 1인당 100만 원씩 10만 명의 동의받아 소송을 추진할 계획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미 간 관세·안보 합의를 문서화하는 '조인트 팩트시트(JFS·합동설명자료)' 관련 발표를 하고 있다. 2025.11.14. 한미 정상회담 이후 16일만에 발표된 조인트 팩트시트(JFS, 공동 설명자료)를 통해 핵 추진 잠수함(SSN·핵잠)을 한국에서 건조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제 핵연료 확보와 핵폐기물의 재처리를 위한 한미 원자력 협정 개정 등 후속 조치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미국과의 남은 협정에서는 상업적 목적의 핵연료 사용 확대와 핵잠의 운용만을 목적으로 한 협정에 임할 것으로 보인다.이재명 대통령은 1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대한민국의 수십년 숙원이자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필수 전략자산인 핵 추진 잠수함 건조를 추진하기로 (한미가) 함께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우라늄 농축과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 확대도 미국 정부의 지지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매우 의미있는 진전"이라고 강조했다.팩트시트가 발표되기 전 핵잠의 건조 위치에 많은 관심이 쏠렸다. 핵잠 건조 위치를 두고는 미국 측이 한화오션 산하 필리 조선소(미국 필라델피아 소재)에서 핵잠을 건조할 것을 요구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그러나 한미 간에는 관련 협상 초기부터 한국에서 핵잠을 건조하기로 합의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처음부터 끝까지 (핵 추진 잠수함을) 한국에서 건조하는 것을 전제로 (논의가) 진행됐다"고 설명했다.한국은 한미 원자력협정에 따라 평화적 목적에 한해 미국과의 서면 합의가 이뤄질 경우 '우라늄-235'를 20% 미만까지 농축할 수 있다. 한국은 통상 5% 미만으로 농축된 우라늄을 러시아 등에서 수입해 상용 원전에만 사용한다.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도 할 수 없다.핵잠의 원활한 운용을 위한 우라늄 농축도 확보도 문제지만, 현재 연간 700t 이상 발생하는 핵폐기물 재처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원자력 협정을 재개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이에 대해 미국 정부의 지지를 확보한 만큼 관련 후속 조치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위 실장은 "(한미원자력협정) 개정이 필요하면 개정을 해야 하고 새로운 해석이 필요하면 해석을 해야 한다"며 "새로운 협정이 필요할 것 같지는 않다. 지금 있는 것
콜백서비스
답변
답변 준비중입니다.
공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