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서비스 | “우울증은 불신앙 아닌 ‘뇌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작성일25-11-19 16:43 조회35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콜백문자서비스
“우울증은 불신앙 아닌 ‘뇌의 감기’… 교회는 계급장 뗀 ‘치유의 피난처’ 돼야”“인생은 9회 말 2아웃에도 역전… 100점짜리 답안지 아니어도 괜찮습니다”이종국 전 국립공주병원장이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본사에서 인터뷰하고 있다.시인은 환갑을 넘긴 정신과 전문의에게 ‘소년’이라는 이름을 붙여줬다. “육신의 소년이 아니라 마음의 소년, 정신의 소년, 그가 가는 길 거침 없어라.” 지난 7월 국립공주병원 대강당, 이종국(63) 병원장 퇴임식 단상에 오른 나태주 시인은 떠나는 원장을 위해 지은 축시 ‘내일도 여전히 소년이시라’를 낭송하며 그를 배웅했다.분당구미교회 장로인 이 전 원장은 최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본사에서 만난 자리에서 그 시구처럼 소년 같은 맑은 눈빛을 하고 있었다. 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1991년 전문의가 된 그는 지난 35년간 홍성의료원, 용인정신병원, 국립공주병원 등 공공의료 최전선을 지켜왔다.나태주 시인(왼쪽)이 지난 7월 국립공주병원에서 열린 이종국(오른쪽) 원장 퇴임식에서 그를 위해 지은 축시 ‘내일도 여전히 소년이시라’를 낭송하고 있다. 이 전 원장 제공어린 시절 이 장로를 만든 건 아버지였다. 가난으로 중학교까지 어렵게 졸업한 이 장로의 아버지는 가족들을 부양하기 위해 서울로 상경해 쌀가게를 하면서도 당시 이익을 위해 저울 눈금을 속이는 관행을 거부했다. 당시 상인들 사이에서는 쌀에 다른 것을 섞거나 양을 줄여 파는 일이 흔했다고 한다. 이 장로는 “아버지는 ‘남을 속이면 돈은 벌지 몰라도, 내 양심이 안다’고 말하면서 정직을 지키셨다”며 “세상의 성공 방식이 아닌 ‘정직’을 유산으로 물려받았기에, 남들이 기피하던 정신과와 공공의료의 길을 묵묵히 걸을 수 있었다”고 회고했다. 이 장로의 아버지는 부인과 아들을 주일에 교회에 보내면서도 가족들의 생계를 위해 쌀가게를 지켰다. 은퇴할 나이가 될쯤 교회에 가겠다고 결심하고는 그 누구보다 열심히 신앙생활을 했다고 한다.그가 의대생 시절 수많은 전공 중 정신과를 택한 데에는 신앙적 고민이 깊게 깔려 있었다. 그는 “성경 속 예수님의 사역을 보면 소경의 눈을 뜨게 하고, 귀신 들린 자를 고치고, 걷지 못하는 자를 일으키는 ‘치유’가 핵심이었다”며 “오늘날의 의사로서 예수님의 삶을 가장 닮아갈 수 있는 길이 무엇일까 고민했고, 마음이 아픈 이들을 돌보는 정신과도“우울증은 불신앙 아닌 ‘뇌의 감기’… 교회는 계급장 뗀 ‘치유의 피난처’ 돼야”“인생은 9회 말 2아웃에도 역전… 100점짜리 답안지 아니어도 괜찮습니다”이종국 전 국립공주병원장이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본사에서 인터뷰하고 있다.시인은 환갑을 넘긴 정신과 전문의에게 ‘소년’이라는 이름을 붙여줬다. “육신의 소년이 아니라 마음의 소년, 정신의 소년, 그가 가는 길 거침 없어라.” 지난 7월 국립공주병원 대강당, 이종국(63) 병원장 퇴임식 단상에 오른 나태주 시인은 떠나는 원장을 위해 지은 축시 ‘내일도 여전히 소년이시라’를 낭송하며 그를 배웅했다.분당구미교회 장로인 이 전 원장은 최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본사에서 만난 자리에서 그 시구처럼 소년 같은 맑은 눈빛을 하고 있었다. 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1991년 전문의가 된 그는 지난 35년간 홍성의료원, 용인정신병원, 국립공주병원 등 공공의료 최전선을 지켜왔다.나태주 시인(왼쪽)이 지난 7월 국립공주병원에서 열린 이종국(오른쪽) 원장 퇴임식에서 그를 위해 지은 축시 ‘내일도 여전히 소년이시라’를 낭송하고 있다. 이 전 원장 제공어린 시절 이 장로를 만든 건 아버지였다. 가난으로 중학교까지 어렵게 졸업한 이 장로의 아버지는 가족들을 부양하기 위해 서울로 상경해 쌀가게를 하면서도 당시 이익을 위해 저울 눈금을 속이는 관행을 거부했다. 당시 상인들 사이에서는 쌀에 다른 것을 섞거나 양을 줄여 파는 일이 흔했다고 한다. 이 장로는 “아버지는 ‘남을 속이면 돈은 벌지 몰라도, 내 양심이 안다’고 말하면서 정직을 지키셨다”며 “세상의 성공 방식이 아닌 ‘정직’을 유산으로 물려받았기에, 남들이 기피하던 정신과와 공공의료의 길을 묵묵히 걸을 수 있었다”고 회고했다. 이 장로의 아버지는 부인과 아들을 주일에 교회에 보내면서도 가족들의 생계를 위해 쌀가게를 지켰다. 은퇴할 나이가 될쯤 교회에 가겠다고 결심하고는 그 누구보다 열심히 신앙생활을 했다고 한다.그가 의대생 시절 수많은 전공 중 정신과를 택한 데에는 신앙적 고민이 깊게 깔려 있었다. 그는 “성경 속 예수님의 사역을 보면 소경의 눈을 뜨게 하고, 귀신 들린 자를 고치고, 걷지 못하는 자를 일으키는 ‘치유’가 핵심이었다”며 “오늘날의 의사로서 예수님의 삶을 가장 닮아갈 수 있는 길이 무엇일까 고민했고, 마음이 아픈 이들을 돌보는 정신과도 그 길이 될 수 있겠다고 봤다”고 말했다.이종국(오른쪽) 전 원장이 지난 8월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진행된 분당구미교회 해외의료선교 활동 중 현지 주민을 진료하고 있다. 이 전 원장 제공이 장로가 35년간 공공의료 현장을 떠나지 못
콜백문자서비스
“우울증은 불신앙 아닌 ‘뇌의 감기’… 교회는 계급장 뗀 ‘치유의 피난처’ 돼야”“인생은 9회 말 2아웃에도 역전… 100점짜리 답안지 아니어도 괜찮습니다”이종국 전 국립공주병원장이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본사에서 인터뷰하고 있다.시인은 환갑을 넘긴 정신과 전문의에게 ‘소년’이라는 이름을 붙여줬다. “육신의 소년이 아니라 마음의 소년, 정신의 소년, 그가 가는 길 거침 없어라.” 지난 7월 국립공주병원 대강당, 이종국(63) 병원장 퇴임식 단상에 오른 나태주 시인은 떠나는 원장을 위해 지은 축시 ‘내일도 여전히 소년이시라’를 낭송하며 그를 배웅했다.분당구미교회 장로인 이 전 원장은 최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본사에서 만난 자리에서 그 시구처럼 소년 같은 맑은 눈빛을 하고 있었다. 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1991년 전문의가 된 그는 지난 35년간 홍성의료원, 용인정신병원, 국립공주병원 등 공공의료 최전선을 지켜왔다.나태주 시인(왼쪽)이 지난 7월 국립공주병원에서 열린 이종국(오른쪽) 원장 퇴임식에서 그를 위해 지은 축시 ‘내일도 여전히 소년이시라’를 낭송하고 있다. 이 전 원장 제공어린 시절 이 장로를 만든 건 아버지였다. 가난으로 중학교까지 어렵게 졸업한 이 장로의 아버지는 가족들을 부양하기 위해 서울로 상경해 쌀가게를 하면서도 당시 이익을 위해 저울 눈금을 속이는 관행을 거부했다. 당시 상인들 사이에서는 쌀에 다른 것을 섞거나 양을 줄여 파는 일이 흔했다고 한다. 이 장로는 “아버지는 ‘남을 속이면 돈은 벌지 몰라도, 내 양심이 안다’고 말하면서 정직을 지키셨다”며 “세상의 성공 방식이 아닌 ‘정직’을 유산으로 물려받았기에, 남들이 기피하던 정신과와 공공의료의 길을 묵묵히 걸을 수 있었다”고 회고했다. 이 장로의 아버지는 부인과 아들을 주일에 교회에 보내면서도 가족들의 생계를 위해 쌀가게를 지켰다. 은퇴할 나이가 될쯤 교회에 가겠다고 결심하고는 그 누구보다 열심히 신앙생활을 했다고 한다.그가 의대생 시절 수많은 전공 중 정신과를 택한 데에는 신앙적 고민이 깊게 깔려 있었다. 그는 “성경 속 예수님의 사역을 보면 소경의 눈을 뜨게 하고, 귀신 들린 자를 고치고, 걷지 못하는 자를 일으키는 ‘치유’가 핵심이었다”며 “오늘날의 의사로서 예수님의 삶을 가장 닮아갈 수 있는 길이 무엇일까 고민했고, 마음이 아픈 이들을 돌보는 정신과도“우울증은 불신앙 아닌 ‘뇌의 감기’… 교회는 계급장 뗀 ‘치유의 피난처’ 돼야”“인생은 9회 말 2아웃에도 역전… 100점짜리 답안지 아니어도 괜찮습니다”이종국 전 국립공주병원장이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본사에서 인터뷰하고 있다.시인은 환갑을 넘긴 정신과 전문의에게 ‘소년’이라는 이름을 붙여줬다. “육신의 소년이 아니라 마음의 소년, 정신의 소년, 그가 가는 길 거침 없어라.” 지난 7월 국립공주병원 대강당, 이종국(63) 병원장 퇴임식 단상에 오른 나태주 시인은 떠나는 원장을 위해 지은 축시 ‘내일도 여전히 소년이시라’를 낭송하며 그를 배웅했다.분당구미교회 장로인 이 전 원장은 최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본사에서 만난 자리에서 그 시구처럼 소년 같은 맑은 눈빛을 하고 있었다. 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1991년 전문의가 된 그는 지난 35년간 홍성의료원, 용인정신병원, 국립공주병원 등 공공의료 최전선을 지켜왔다.나태주 시인(왼쪽)이 지난 7월 국립공주병원에서 열린 이종국(오른쪽) 원장 퇴임식에서 그를 위해 지은 축시 ‘내일도 여전히 소년이시라’를 낭송하고 있다. 이 전 원장 제공어린 시절 이 장로를 만든 건 아버지였다. 가난으로 중학교까지 어렵게 졸업한 이 장로의 아버지는 가족들을 부양하기 위해 서울로 상경해 쌀가게를 하면서도 당시 이익을 위해 저울 눈금을 속이는 관행을 거부했다. 당시 상인들 사이에서는 쌀에 다른 것을 섞거나 양을 줄여 파는 일이 흔했다고 한다. 이 장로는 “아버지는 ‘남을 속이면 돈은 벌지 몰라도, 내 양심이 안다’고 말하면서 정직을 지키셨다”며 “세상의 성공 방식이 아닌 ‘정직’을 유산으로 물려받았기에, 남들이 기피하던 정신과와 공공의료의 길을 묵묵히 걸을 수 있었다”고 회고했다. 이 장로의 아버지는 부인과 아들을 주일에 교회에 보내면서도 가족들의 생계를 위해 쌀가게를 지켰다. 은퇴할 나이가 될쯤 교회에 가겠다고 결심하고는 그 누구보다 열심히 신앙생활을 했다고 한다.그가 의대생 시절 수많은 전공 중 정신과를 택한 데에는 신앙적 고민이 깊게 깔려 있었다. 그는 “성경 속 예수님의 사역을 보면 소경의 눈을 뜨게 하고, 귀신 들린 자를 고치고, 걷지 못하는 자를 일으키는 ‘치유’가 핵심이었다”며 “오늘날의 의사로서 예수님의 삶을 가장 닮아갈 수 있는 길이 무엇일까 고민했고, 마음이 아픈 이들을 돌보는 정신과도 그 길이 될 수 있겠다고 봤다”고 말했다.이종국(오른쪽) 전 원장이 지난 8월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진행된 분당구미교회 해외의료선교 활동 중 현지 주민을 진료하고 있다. 이 전 원장 제공이 장로가 35년간 공공의료 현장을 떠나지 못
콜백문자서비스
답변
답변 준비중입니다.
공지


